본문 바로가기
동물생리학/동물질병

반려견 가축전염병 렙토스피라병, 파라인플루엔자병

by 꿀벌동 2023. 1. 7.

개의 렙토스피라병
이 병은 렙토스피라에 의한 개의 급성 또는 만성의 감염병이다. 황달을 나타내며 급속히 폐사하는 급성형, 구토, 설사, 신염 증상, 출혈성 위장염, 구내 궤양을 나타내고 폐사율이 높은 아급성 형, 회복하여 신염이 지속되는 만성형 및 무증상으로 지나는 만성의 신염을 나타내는 불현성 형이 있다. 렙토스피라병은 개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전염병의 하나이다. 매개체의 오줌이 감염원이 되며 개사기에 전파된다.
원인
Leptospira interrog ans의 혈청형 canicola 및 icterohaemorrhagiae가 병원균이다. Spiro chaeta에 속하는 Leptospira는 다른 세균과 성상의 차이가 있다. 형태는 아주 가늘고 길며 나선형이다. 제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은 살아있는 상태로 100배 또는 그 이상의 배율로 암시야경 검을 하는 것이며, 독특한 운동성과 형태에 의하여 확인된다. 
배양에는 토끼의 혈청을 10% 첨가한 저장 액체배지가 사용된다. 지적 배양온도는 25~30%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각국의 개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역학
canicola감염 : 개는 canicola에 감수성이 높다. 이에 감염되면 대부분의 개는 신장에 보균하고, 요로 균을 배출하게 된다. 여러 곳에서 외관상 건강한 개의 50% 이상이 canicola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어서 과거에 감염을 받았다는 것을 추증할 수 있다. 항체 보유율은 연령과 더불어 상승한다.
개의 품종과 관계없이 감염된다. 수컷은 암컷보다 감염률이 3~5배 높다. 발생은 계절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감염된 개는 장기간 요에서 균을 배설한다. 배출된 leptospira는 지표수에서 증식하고, 이에 접촉하는 개나 사람에, 점막이나 피부(특히 작은 상처가 있을 경우)로 감염한다. 직접 요에 접촉되어도 감염한다.
icterohaemorrhagiae감염 : icterohaemorrhagiae를 보유하는 쥐의 요가 주요 감염원이며, 배출된 균이 하수구 등에서 증식하여 개에 감염한다. 개에 감염률은 canicola의 경우보다 낮다.
증상
canicola감염 : 아급성 형은 신염을 주장으로 하며, 출혈성 위장염, 궤양성구내염을 동반한다. 발열, 근육통 등으로 시작되며, 원기소길, 구토, 혈변, 단백뇨를 나타내고, 때로는 무료로 되어 신장의 부기가 촉진되며, 허탈, 이어서 폐사하게 된다. 회복되면 만성형으로 이행하여 신염이 지속된다. 
불현성 감염형은 증상이 없어 감염이 지나며, 여러 가지 정도의 신염이 있고 오래되면 위축 신으로 된다.
icterohaemorrhagiae감염 : 급성형은 돌연 고열이 있고, 쇠약, 떨림 및 목이나 복부의 근육이 이완이 있고, 입술의 출혈성 포진, 잇몸, 기타 점막의 출혈, 구토 등을 나타낸다. 수 시간에서 2~3일 지나 폐사한다.
황갈형은 발열로 시작하여 황달을 보인 후 이에 해열되고 쇠약해진다. 요는 담즙 색으로 단백이 혼합된다. 2일쯤에 폐사하는 것, 1주일간 또는 그 이상 생존하고, 회복하는 것도 있다.
한편, 아급성은 canicola감염의 아급성 형과 유사하다.
병리
육안 소견 : 급성형으로 폐사된 경우는 전신의 탈수 및 황달이 심하고, 점상출혈이 코점막, 구강점막, 신장 등에 인정된다. 황달 형의 경우는 전신의 황달이 있다. 아급성 형의 경우는 전신의 탈수, 신장의 종대와 신피질의 점상출혈이 있고, 밤알 크기 내지 쌀알 크기의 딱딱한 회백색과 가 피질에 산재하며, 신자의 표면은 요철이 심하다. 만성형은 신장의 회백색 조직이 증대하고, 표면의 요철이 심하며 위축 신이 된다.
조직 소견 : 출혈이 여러 장기에서 인정된다. 신사 구체와 요관 상피세포의 변성, 괴사, 간질의 염증이 있다.
병원 및 혈청학적 진단
병원 학적 진단 : 급성기 또는 유열이기에 혈액을 액체배지에 소량 접종하여, 수일부터 2개월 배야 한다. 만성기에는 신피질의 소편을 동양으로 배양한다. 발육은 암시야경검법으로 조사한다. 햄스터 또는 기니피그에 혈액이나 신 유제를 접종하고 발열 시에 심장 혈액을 배양하면 좋다.
혈청학적진단: 현미경 응집반응 또는 slid glass 응집반응 등으로 급성기와 회복기의 혈청을 조사하여 상승이 명료할 때는 감염을 의심한다.
예방 및 치료
사균 백신이 있다.치료는 streptomycin과 penicillin의 병용이 좋다. 신장에 보균 되어있는 Leptospira 의 제거에는 streptomycin 치료에 의한다.
개의 para influenza
가벼운 상부기도 질환과 발열을 나타내는 감염증이고, 호흡기 상재균의 2차 증식을 촉진하며 기관지염부터 화농성폐렴으로 진행되어 치사 적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병원 바이러스는 배양세포에 대하여 넓은 감염을 나타내고 혈구흡착반응이 인정된다. 세포질내봉입체나 거 세포를 형성하는 배양세포도 있다. 넓은 범위의 동물 종의 적혈구에 응집 능을 나타낸다.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혈청 항체 보유율이 약 60%에 달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일본에서는 자기 단서 고기용 개에 유행과 바이러스 분리가 보고되어 있다. 근년 이 바이러스가 개의 뇌염, 수두증이나 후구 부전마비 예의 뇌척수액에서 분리되어 중추신경계의 감염이 주목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