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생리학/동물질병9 소 럼피스킨 병이란? 소 럼피스킨병 이란?럼피스킨(LSD, lumpy skin disease)이란 소과 동물 중 소 및 물소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피부, 점박, 내부장기의 결절과 여윔, 림프절 종대, 피부 부종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급, 만성의 바이러스 질병이다. 젖소의 생산성 저하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질병은 가축전염병 예방법에서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있어요, 세계동물보건기구에서도 관리대상 가축전염병으로 부료지정하고 있어 발생시에는 보고를 해야하는 질병이다. 전파방법은?럼피스킨의 잠복기간은 보통 4일에서 14일 정도로 짧으며, 세계동물보건기구에는 최대 잠복기를 28일로 본다.럼피스킨의 주요 전파요인은 흡혈 곤충에 의한 기계적 전파이다. 전파 가능한 흡혈 곤충으로 모기류, 흡혈파리, 수컷 .. 2024. 9. 5. 개 고양이 '콕시듐증' 'Blastomyces증' 'Crytococcus증' 개 고양이의 ciccidioides증 개 고양이 콕시듐증은 coccidioides속 균종의 감염에 의한 질환이며, 현재 병원균으로 인정되고 있는 것은 c.immitis한 종류이다. 이균은 미국 남서부나 중남아메리카 등의 사막지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보고가 없다. 그러나 이균은 병원성이 제일 강한 진균이여서, 오염지역과의인축의 교류나 물자수입에 의한 감염기회가 우려됨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c. immitis 토양이나 먼지중에 분절형분생자 및 후막분생자가 부생적으로 존재하고 있다.감염은 주로 경기도감염이며, 흡입된 분생자가 조직내에 침입하고, 폐에 육아종이 형성된다. 이후 흉막, 간장, 비장 등 전신에 전파되는 경향이 잇다. 그러나 이 균에 감염된 것이 전부가 중증의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주요.. 2023. 1. 7. 고양이 가축전염병 '전염성빈혈' 'chlamydia성 폐렴' '피부사상균증'Histoplasma증' 고양이 전염성 빈혈 이병은 고양이의 용혈 빈혈을 주장으로 하는 질환이다. 분포는 세계적이다. 보통 2개씩 대가 되어 적혈구 표면에 흡착상태로 기생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간 균상, 또는 윤상일 나타내는 것도 있다. gram 염색에 청자색 내지 적자색의 소체로 관찰된다. 수고양이에서 발병 예가 상당히 많으며 그 원인에 대하여는 명확하지 않다. 실험적으로 환축의 혈액 접종에 의하여 쉽게 감염이 성립되며, 자연계에서는 감염경로는 명확하지 않다. 흡혈성의 절족동물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용혈 빈혈을 기초로 하는 질환이며, 적혈구의 삼투압 저항성이 저하되고, 빈혈은 필발의 증세이며 황달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예에서 비중이 관찰된다. 확정적 진단은 적혈구에 흡착된 haemobartonella.. 2023. 1. 7. 반려견 가축전염병 렙토스피라병, 파라인플루엔자병 개의 렙토스피라병 이 병은 렙토스피라에 의한 개의 급성 또는 만성의 감염병이다. 황달을 나타내며 급속히 폐사하는 급성형, 구토, 설사, 신염 증상, 출혈성 위장염, 구내 궤양을 나타내고 폐사율이 높은 아급성 형, 회복하여 신염이 지속되는 만성형 및 무증상으로 지나는 만성의 신염을 나타내는 불현성 형이 있다. 렙토스피라병은 개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전염병의 하나이다. 매개체의 오줌이 감염원이 되며 개사기에 전파된다. 원인 Leptospira interrog ans의 혈청형 canicola 및 icterohaemorrhagiae가 병원균이다. Spiro chaeta에 속하는 Leptospira는 다른 세균과 성상의 차이가 있다. 형태는 아주 가늘고 길며 나선형이다. 제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은 살아있는.. 2023. 1. 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