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고양이의 ciccidioides증
개 고양이 콕시듐증은 coccidioides속 균종의 감염에 의한 질환이며, 현재 병원균으로 인정되고 있는 것은 c.immitis한 종류이다. 이균은 미국 남서부나 중남아메리카 등의 사막지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보고가 없다. 그러나 이균은 병원성이 제일 강한 진균이여서, 오염지역과의인축의 교류나 물자수입에 의한 감염기회가 우려됨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c. immitis 토양이나 먼지중에 분절형분생자 및 후막분생자가 부생적으로 존재하고 있다.감염은 주로 경기도감염이며, 흡입된 분생자가 조직내에 침입하고, 폐에 육아종이 형성된다. 이후 흉막, 간장, 비장 등 전신에 전파되는 경향이 잇다. 그러나 이 균에 감염된 것이 전부가 중증의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주요 임상증상은 병소의 부위나 정도에 따라서 다르며, 식욕부진, 발열, 기침, 구토, 만성설사, 호흡곤란, 허탈 등이다. x선검사에서는 폐의 육아종이나 석회화, 종격막동의 림프절종대 또는 골수염이나 골융해상도 인정된다. 진단에는 주로 직접경검이나 혈청진단을 실시한다.
1) 직접경검 : 농즙, 흉강이나 복강의 삼출액, 뇨 등을 채취하여 무염색표본으로 검사하여 이 균 특유의 내생포자를 다수 함유한 두터운 벽의 구상체를 검색한다. 또한 가검재료에 생리식염액을 가하여, 수시간 방치하면, 구상체 또는 내생포자에서 균사가 신장되어 있는 것이 인정된다.
2) 배양검사 : 진단에는 필수적인 것이나 위험이 있으므로 특별한 시설이 있는 기관에 의뢰하여야 한다.
3) 접종시험 : 가검재료를 쥐의 복강내에 접종하여, 구상체를 확인한다.
4) 혈청진단 : CF반응이나 침강반응에 의하거나, 면역형광법 등이 있다. 그러나 보통 많이 사용하는 것은 이균의 배양여액으로 만든 coccidiodin을 항원으로한 피내반응이다. 또한 latex입자를 이용한 응집반응 등도 있다.
5) 생검 : 육아종형성이 현저하고, 괴사나 농양이 수반되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이 있다.
한천배지에서 배양하면 균사가 발육하여 분절형분생자를 다수 산생한다. 이 분생자는 쉽게 비산하기 때문에 연구실 등을 오염시킬 위험성이 아주 크다. 이 분생자를 흡입하므로써 감연된다. 이균은 병원성이 극히 강하고, 실험실감염으로 사망하는 예가 가끔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경솔하게 이 균의 분리배양을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개 고양이의 Blastomyces증
이균은 북아메라카의 중앙의 미시시피강이나 오하이오강 유역에 분포하며, 자연계에서의 생식장소는 아마도 토양이라고 생각된다.
부생상태 26℃에서의 배양에는 균사형을 나타내고, 기생상태나 37℃에서의 배양에서는 효모상을 나타내는 2형성균이다.
감염부위나 그정도에 따라서 임상증상은 다르며, 감염된 개는 거의 발증한다. 폐, 피부, 눈, 골 등이 주로 침범되며, 전신성파종성감염이 되는 예도 있다. 폐감염에서는 건성의 만성기침, 발열이 있고, 진행되면 삭수, 호흡곤란이 인정된다. x선에서는 다수의 고립성의 음영이나 종격동 림프절의 종대가 있다. 피부에는 작은 구진이 확대되고, 난반명의 형성이나 피하농양이 발현된다.
진단에는 직접경검, 배양검사, 조직학적 검사 등이 실시된다.
1) 직적경검 : 농즙이나 객담 등의 분비물을 채취하고 10%의 KOH를 가하여, 약 10분간 방치한후 투병화되면 경검하여, 원형의 벽이 두터운 단극분아성이고 발아면의 폭이 넓은 효모양세포를 검색한다.
2) 배양검사 : 가검재료를 chloramphenicol과 cycloheximide첨가의 포도당한천배지에 접종하고, 24℃에서 약 2주간 배양한다. brucella dermatitidis라고 생각되는 균사형의 집락이 인정되면 혈액한천에 계대하고, 37℃에서 배양하여 효모상의 집락의 발육을 확인한후, 이것을 순수 분리하여 동정한다.
3) 면적학적 검사 : 배양여액으로 만든 항원으로 하여 피내반응을 실시한다. 그러나 특이성에는 약간의 문제가 남아있다.
4) 생검검사 : 병소부에서의 생검재료를 HE염색을 하여 검사한다. 육아종성 또는 화농성의 병소가 인정된다. 균체는 화농괴사부, 특히 거세포내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치료는 다른 심재성진균증과같다.
개고양이의 Crytococcus증
이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비둘기의 퇴적분에서 많이 분리된다.
대분은 경기도감염이며, 공중에 부유하는 포자 또는 분생자를 흡입하면, 부비강염이나 폐렴등이 발현한다. 무증상으로 경과하는 것이 있으나 진행되면 전심감염으로 되고, 특히 중추신경장애가 현저하게 된다. 보행장애, 경련이 있고, 안저에도 이상이 생기고 골융해가 있는 경우도 있다. 폐병소는 한국성의 작은 농양부터 다발성의 육아종이나 미만성의 폐렴가지 여러 가지의 병변이 인정된다. 경피감염에서는 작은 농양이나 육아종의 형성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신감염으로 된다. 진단에는 직접경검, 배양검사, 면역학적 검사를 실시한다.
1) 직접경검 : 각종 가검재료를 채취하고 흑즙표본을 만들어서 협막이 있는 효모양진균을 검색경검한다. 가검재료로는 농즙 등의 천자액, 척수액, 혈액, 뇨, 분변, 비즙 및 기타의 분비물을 사용한다. 척수액 등은 경우에 따라서 원침하여 침사를 검사한다.
2) 배양검사 : 직접경검과 동일 가검재료를 한천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약1주간 배양한다. 발육한 크림상 집락에 대하여 분리동정을 실시한다.
3) 항원시험 : 이균에 대한 항체로 피복시킨 latex입자를 사용하여 항원가 측정용의 항원시험을 실시한다. 병에 걸린 개의 혈청 중에 이균의 협막항원성분이 존재하면 양성으로 한다.
4) 항체시험 : 응집반응에 의하여 혈청항체가를 측정하고 있으나 이 반응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5) 생검 : 병소에서 생검재료르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검토한다. 특수염색으로는 PAS 등의 염색을 하며, 협막을 가진 효모양균을 검색한다.
치료는 각종의 항진균제를 사용한다.
'동물생리학 > 동물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 럼피스킨 병이란? (4) | 2024.09.05 |
---|---|
고양이 가축전염병 '전염성빈혈' 'chlamydia성 폐렴' '피부사상균증'Histoplasma증' (0) | 2023.01.07 |
반려견 가축전염병 렙토스피라병, 파라인플루엔자병 (0) | 2023.01.07 |
반려견 가축전염병 개 브루셀라병, 개 campylobacter성 장염 (0) | 2023.01.07 |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염' '고양이전염성복막염' '고양이 calicivirus병' (0)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