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전염성 빈혈
이병은 고양이의 용혈 빈혈을 주장으로 하는 질환이다. 분포는 세계적이다. 보통 2개씩 대가 되어 적혈구 표면에 흡착상태로 기생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간 균상, 또는 윤상일 나타내는 것도 있다. gram 염색에 청자색 내지 적자색의 소체로 관찰된다. 수고양이에서 발병 예가 상당히 많으며 그 원인에 대하여는 명확하지 않다. 실험적으로 환축의 혈액 접종에 의하여 쉽게 감염이 성립되며, 자연계에서는 감염경로는 명확하지 않다. 흡혈성의 절족동물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용혈 빈혈을 기초로 하는 질환이며, 적혈구의 삼투압 저항성이 저하되고, 빈혈은 필발의 증세이며 황달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예에서 비중이 관찰된다. 확정적 진단은 적혈구에 흡착된 haemobartonella felis를 검출하는 것이며, 그 출현은 불안정성이어서 수일간 연속 검사가 필요하다. 고양이의 hemoglobin이 7 이하의 빈혈을 나타내는 경우는 일단 이병을 의심해보아야 한다.감염경로가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예방에 어려움이 있다.치료는 항생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고양이의 chlamydia 성 폐렴
1942년 영국의 baker가 고양이의 폐렴을 최초로 보고하였다. 임상증상으로는 재채기, 콧물, 결막 분비물, 기침, 발열 및 식욕부진이 있다. 보통 증상은 2주간 계속된 후 소실하며, 호흡곤란에 의하여 폐사하는 예는 드물다. 병원체는 마우스 접종에 의하여 분리된다. 상부 기도에 카 탈선 염 증상, 폐에는 허파꽈리의 허탈이 종말 기관지 초 주변에 보이고, 림프양 세포와 호중구가 허파꽈리 중에 출현한다.
개 고양이의 피부사상균증
이 종은 소포 지역균형선발 속, 백석균 등의 피부사상균에 의하여 일어나는 개, 고양이의 표재성 피부진균증이며, 가끔 심재성 피부감염을 일으킨다. 이 증은 개, 고양이의 윤산, 백선, 황손이라고 부른다.
원인
세계적으로 넓게 분포·생존하고, 개 고양이를 중심으로 다른 동물이나 사람에도 감염한다. 토양 중에 장기간 생존하고 있어서 감염원이 되기도 한다.
발생
개 고양이의 피부사상균증은 현재 우리나라에 넓게 만연, 발생하고 있으며, 환부를 긁는 칫솔을 배지에 배양하는 배양법에 의해 균 검출성적이 약 15~25%에 달하고 있다.
역학
개, 고양이의 피모, 피부 면에는 피부사상균의 분생자가 비교적 높은 편으로 검출되고 있으며, 이들 분생자는 감염원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피부감염 사상균증 m. Canis에 의한 감염증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증상
병소는 유원형의 홍반, 인비늘, 가피와 탈모반의 형성을 특징으로 하고, 두부, 경부, 사지에 호발하며, 전신 각 부위에도 형성된다. 균 갑을 형성하기도 한다.
병리
개, 고양이의 피부사상균증은 낙 설정, 가피형 성 염이 주를 이루고, 때로는 삼출성 균 갑 형성 염이 인정된다. 털에 있어서 감염 태도는 소포자 균형 기생, 대포자 균형 기생, 유 소포 자형 기생을 나타낸다.
병원 및 혈청학적 진단
병변 부의 피모를 20% KOH 고 처리하여 직접 경험하면 분절 형 분생자가 털 주위에 벽돌 모양의 포자 초를 형성한다. 균종의 동정은 분리 균의 형태, 배양소면, 교배 시험 등에 의한다.
감염 감작 및 내과란 동물은 각 병원 균종의 배양여액을 항원으로 한 지연형 과민증 반응으로 검출할 수 있다
예방
동물에서 동물에의 연쇄 감염이 일어나므로 사양관리 위생 면의 배려가 중요하며, 토양, 견사 등의 소독에는 옥도제, naphthiomate, carbamate계 약제 등이 유효하다.
치료
외용요법으로는 항진균 제가 사용되며, 내복할 수 있는 항진균제로는 geiseofulvin이 있다.
개 고양이의 Histoplasma증
이 균은 중 남아메리카를 처음으로 하여 각국에서 분리되고 있으며, 조류나 박쥐의 배설물, 토양 등이 감염원이 되고, 기도 또는 경구적으로 감염한다. 주된 증상으로는 만성의 기침이나 설사를 하는 것이 많고, 때로는 발열이나 림프 종대를 동반하는 급성 전심 감염도 인정된다. 호흡기 특히 폐가 진행성으로 침습되면, 지속적인 기침, 농성 객담이 있고, 호흡곤란이 있으며, X-RAY 선상으로는 결 형상 음영이나 공동 형성이 인정된다. 소화관 감염에서는 만성 설사, 장간막 림프렂의 종대, 탈수, 싹수 등이 인정된다.진단을 위하여는 직접 도말표본이나 생검재료 중의 균 요소를 검색하고, 또한 배영 검사나 피내반응 등을 실시한다.첫째 직접 검경: 객담 및 림을 정의 병소첨자액 및 말초혈의 백혈구 층으로 말하여 giemsa 또는 wright 염색을 하여 경험한다. 대 단핵구 중에 존재하는 구성 내지 난원형의 균 요소를 검색한다.
두 번째 병리 조직학적 검사 : 병소로부터 생검재료를 채취하고 H-E 염색 PAS 염색 및 Grocott-Gomori 염색을 실시하여 균 요소를 검색한다.세 번째 배양검사 : chloramphenicol과 cycloheximide 첨가 brain-heart infusion 한천이나 이것에 혈액을 가한 배지를 사용하여 26℃에서 배양한다. 발육한 균사 형의 colony를 분리하여 동정한다.네 번째 면역학적 검사 : 배양여액으로 만든 histoplasmin을 사용하여 피내반응을 한다. 기타 CF 반응, 침강반응, latex 입자를 이용한 응집반응 등도 실시되고 있다. 치료는 다른 심재성 진균증과 같으며 amphotericin, vanillate, ketoconnanzole, miconazole, nystatin,sulfonamides 등이 사용된다.
'동물생리학 > 동물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 럼피스킨 병이란? (4) | 2024.09.05 |
---|---|
개 고양이 '콕시듐증' 'Blastomyces증' 'Crytococcus증' (0) | 2023.01.07 |
반려견 가축전염병 렙토스피라병, 파라인플루엔자병 (0) | 2023.01.07 |
반려견 가축전염병 개 브루셀라병, 개 campylobacter성 장염 (0) | 2023.01.07 |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염' '고양이전염성복막염' '고양이 calicivirus병' (0)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