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물생리학/동물보호

반려동물 범위와 관련 시장

by 꿀벌동 2023. 1. 10.

반려동물의 범위
주인만 괜찮다면, 이구아나 도마뱀 등의 파충류/ 개구리 등의 양서류/타란툴라(애완용 독거미), 귀뚜라미, 사슴벌레 등의 곤충/ 손 노리개 조류를 포함한 앵무, 잉꼬, 등 조류/각종 담수어와 열대어까지 정말로 다양하며 드물게는 포니(작은 당나귀)와 멧돼지, 악어들도 애완동물 범주에 들 수 있다.
반려동물의 전 단계로 불렸던 애완동물은 집에서 키우는 모든 생명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애완동물(愛玩動物)의 뜻이 “사랑스럽고 귀여운 동물”이듯이 사육주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귀엽고 사랑스러운 동물 모두가 그 범위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 모든 동물 중에서 개와 고양이는 사랑스럽고 귀여운 감정을 주인에게 전달하는 기능과 아울러 정신장애 치유 동물의 기능을 하고 있으며 개는 장애인 보조개(맹인 안내가 각종 목적인 폭발물 탐지가, 인명구조가, 군견, 경찰견 등의 목적 견으로서 우리의 삶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보다 객관적인 개념으로 가족 구성원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어서 우리의 삶에 동반자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반려동물은 말 그대로 인생의 동반자적 관계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동물이며, 그러한 동물을 반려동물의 범위로 한정한다.
동물보호 법령에서는 동물을 반려동물, 실험 동물, 농장 동물로 구분하고 있고 반려동물이란 반려 목적으로 기르는 개, 고양이 등 농림 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동물(동물보호법 제2조 제1항 제6호)이라고 정하고 있다.여기서 개, 고양이 등 농림 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동물이란 개, 고양이, 토기, 페럿, 기니피그 및 햄스터(동물보호법 시행규칙 제1조의 제2항) 6종에 해당한다.

반려동물 관련 시장
반려동물 산업이란 사료산업, 용품 산업, 수의업, 서비스업 등 반려동물과 관련하여 재화 용역을 제공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반려동물 시장 증가요인으로는 ①사회적 요인(인구 구조의 고령화, 독신가구 증가, 스트레스 사회 등)과 ②반려동물 의식변화(가족 구성원, 동반자, 파트너 등)이다.
반려동물 건강을 고려하여 고품질 사료의 소비가 증가하는 등 소비자들의 취향이 고급화, 또한 실내에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가 증가하면서 관련 용품의 시장이 발달한다.
반려동물 산업은 선진국형 산업으로 선진국들의 경우 GDP에서 차지하는 관련 산업 비중이 한국의 5배 수준이다.
반려동물 시장은 미국 57조원, 일본 약 16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0.34%, 0.3% 수준이며 이는 한국 0.07%의 4∼5배 수준이다.
우리나라와 문화 여건이 비슷한 일본의 애완동물 사육 트렌드는 ①반려와, ②실내 사육, ③소형화, ④고령화 등 4가지이며, 최근에는 보험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1) 사료 시장
업계에서는 우리나라의 2012년 반려동물 사료 시장을 약 1,500억원 규모로 보고 있는데, 소매기준으로는 2,500억 원(40% 마진율 반영 시) 정도 수준으로 추정된다.
○ 판매경로는 두 가지 유형인 유통 전문점 1)과 종합 유통점 2)으로 구분된다.
- 유통 전문점에는 애완동물 가게, 동물병원, 인터넷쇼핑몰 등이 있고 종합유통점에는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등이 있다.
- 인터넷 쇼핑몰 : 도그 카페, 모나미 펫, 휴먼 펫 등
- 주요 대형마트 :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홈에버 등
1) 유통 전문점(Specialty Store) : 상품생산을 기획한 브랜드 회사가 가격과 유통단계까지
관여하여 직접 관리하는 전문 소매점
2) 종합 유통점(Category Killer) : 분야별 전문 매장을 특화해 특정 분야 상품을 파는 소매점
최근에는 인터넷 쇼핑몰 등 도소매 혼합형태의 유통망도 점차 보편화되는 추세이다.
고급사료를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으나 국산 사료 점유율이 높은 대형 마트들은 대부분 중저가 이하 제품을 주로 취급한다.
국내 반려동물 사료 시장의 70%는 외국계 다국적 기업인 네슬레(Nestle) 등이 차지하고 있다.
 그밖에 해외 사료업체는 신복고(Nuro), 유 카누 바(Eukanuba), 캐니 대(Canidae) 등이 있다.
국내업체는 중저가품 위주로 대한사료, 대주사료, CJ, 우성, 천하제일 등이 나머지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주요 반려동물인 반려견 사료는 원료의 품질과 가격수준에 따라 오가닉, 홀리스틱, 슈퍼프리미엄, 프리미엄, 일반 등으로 구분된다.
- 오가닉 (organic) : 유기농 재료를 사용한 최상등급의 품질
- 홀리스틱(holistic) : 방부제와 항생제 성분이 검출되지 않고 USDA(미국 농무부)에서 승인한 재료만을 사용
- 슈퍼프리미엄(super premium) : 곡물 함량이 많은 상등급 품질
- 프리미엄(premium) : 합성 방부제를 사용하며, 기호성을 높이기 위해 육류 단백질을 화학성분으로 처리
- 일반(popular) : 내장이나 육골분 함유량이 많고 주로 슈퍼와 대형마트 등을 통하여 유통
- 기타(generic) : 등급 보류 및 재료 표시가 없는 제품
2) 관련 용품 시장
국내 반려동물 관련 용품 시장은 매출액이 급성장하는 추세이며 업체 수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소비 취향 고급화로 애완동물 및 관련 용품 소매업 시장은 급성장 추세이다.
우리나라 관련 용품 취급 소매점은 애완동물 가게, 동물병원, 인터넷쇼핑몰이 있는데 점차 증가추세이다.
반려동물 및 관련 용품 판매업 성장 추이
반려동물 용품 유통업에 서비스업이 합쳐져 복합화되는 추세로 용품 판매 매장에서 수의 의료 및 미용 서비스 함께 제공하고 있다.
대형 유통업체인 E사는 2010년부터 자체 매장 내 반려견 전용 호텔, 카페, 유치원 시설을 갖춘 반려동물 전문 매장을 운영 중이다.
백화점업체 I사는 복합애견 매장을, 제분 업체 D사는 반려동물 호텔·유치원·미용실 등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하는 사업장을 운영하면서 동물병원시설에 다양한 편의와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
 M사는 반려용품 쇼핑몰에 동물병원과 훈련견 번식 및 훈련을 돕는 서비스 매장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3) 수의 진료 
동물병원 수는 매년 증가추세로 그중 1/3이 수도권에 있음(대한수의사회)
최근에는 동물병원들도 수의 의료 서비스와 함께 애완동물 샵, 미용 서비스 제공 및 애완동물 카페와 놀이시설을 갖추는 추세이다.
4) 동물보험시장
국내 반려동물 보험시장은 미개척 분야로 본격적으로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었으나 이후 2013년 1월부터 반려 동물등록제의 시행이 확정되자 ‘L 손해보험’사와 ‘S 화재보험사’가 새로운 애견 보험 상품을 출시하였다.
아직 다양한 보험상품이 부족하여 반려동물 주인이 대부분 비싼 수의 의료 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동물생리학 > 동물보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의 역사와 정의  (0) 2023.01.10

댓글